Monster Hunter Wilds

Monster Hunter Wilds

Not enough ratings
몬헌 와일즈 옵션 설정 공유
By HUNTER
팁: 타이틀 화면에서만 설정 가능한 옵션이 있습니다.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서론
이 가이드를 보시는 분들의 옵션 설정을 쉽게 만들기 위해
PC 기준 제 설정을 공유합니다.
그래픽 관련해서는 제 하드웨어 사양이 낮아 설정값을 많이 낮췄습니다.
고사양에 대해서는 제가 쓸 말이 없는 점 감안해주세요.


혹시 시간이 부족하시면 아래에 있는 것들만 찾아서 설정해 주셔도 게임이 편해질 겁니다.

-게임 설정- 항목
13. 무기 공격력 표시 형식: 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하기
-조작- 항목
15. 자동 납도 설정: 자동 납도 안 함
16. 방향 지정 타입: 타입 1
18. 세크레트 호출 조작: 타입 3
19. 세크레트 호출 시 초기 조작 상태: 수동 이동
20. 세크레트 수동 조작 설정: 타입 2
본론
먼저 타이틀 화면에서 설정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거미 공포증 대책 모드: 끄기
이 설정을 키시면 거미인 소형몹이나 대형몹이 전부 액체괴물이 됩니다.

타이틀 화면에서 설정 가능한 그래픽 옵션입니다.

2. 지면 묘사 품질: 낮음
개인적으로 높음과 낮음 둘 다 차이는 없었습니다.

3. 모래/눈 등 묘사 품질: 낮음
설정값이 높아질수록 모래와 눈이 있는 면의
볼륨이 증가하고 다각화되어
사실적인 곡선을 만드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낮게 해놓았습니다.

4. 컬링 거리 설정: 높음
제가 직접 환경생물이나 몬스터의 거리가 멀 때
표현이 생략되는 구간을 측정한 것은 아닙니다만
일단 먼 거리의 대상물 표시를 생략하지 않게 설정했습니다.

이제 인게임에서 설정 가능한 부분을 보겠습니다.

5. 미니맵 표시 크기: 표준
미니맵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설정입니다.

6. 미니맵 축척비: 표준
미니맵을 축소해 보거나 확대해 보는 설정입니다.

7. 미니맵 회전 설정: 회전 안 함
화면이 돌아감에 따라 미니맵도 돌아가는지에 대한 여부 설정입니다.

8. 미니맵 경사 설정: 정상에서 본 시점으로 각도 고정
위의 설정과 연계되는데 디폴트값은 화면이 회전할때 미니맵도 회전하고,
화면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입체적인 맵도 기울여질 것입니다.
저는 이게 신기하고 유용할 것 같지만 그냥 구작처럼 그러지 않게 했습니다.

9. 필드 맵 회전 설정: 회전 안 함
미니맵과 별개로 필드맵을 입체적으로 보는 것에 대한 설정입니다.
저는 위에서 고정된 것을 바라보는 게 익숙해서 회전하지 않도록 했습니다.

10. HUD 상시 표시 설정: 항상 표시하기
파라미터에 변화가 없을 때 표시하거나 하지 않는 설정입니다.
저는 항상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11. 자막 설정: 표시하기
저는 자막 배경을 입히고 화자가 표시되게 하며
소리로만 전달이 되는 것이 자막으로도 나오게끔 했습니다.

12. 세크레트 자동 산책 설정: 끄기
목표가 없을 때도 천천히 어디론가 가는 것을 켜고 끄는 설정입니다.
따로 이동키를 입력하지 않아도 세크레트가 혼자
계속 전진하는 것을 막고자 하시면 가이드를 계속 읽어 주세요.
뒤에 나옵니다.

13. 무기 공격력 표시 형식: 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하기
기초공에 무기 계수를 곱해 변환해 준 것을 보는 것과 기초공을 보는 설정입니다.
저는 기초공격력으로 표시하게 했습니다.

저는 튜토리얼을 전부 표시하고 반복해서 나타나도록 했습니다.

15. 자동 납도 설정: 자동 납도 안 함
발도 후 대략 5초 뒤에 자동으로 납도 하게 하고
전투 시에는 자동 납도가 되지 않게 하는 설정입니다.
저는 껐습니다.

16. 방향 지정 타입: 타입 1
디폴트값은 헌터가 카메라를 바라보며 공격한 뒤
A키를 누르면서 구르기를 하면 화면 오른쪽으로 구르기를 합니다.
타입 1은 이동 방향대로 왼쪽으로 구르게 됩니다.
저는 왜 이게 디폴트값인가 의문이라 익숙한 타입 1로 설정했습니다.

17. 슬링어 탄 자동 장전 설정: 자동 장전 안 함
아이템 슬라이더 칸을 슬링어에 뒀을때 자동으로 장전하게 하는 설정입니다.
저는 껐습니다.

18. 세크레트 호출 조작: 타입 3
지정한 키 외에도 F꾹으로 호출할 수 있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저는 수동조작으로 호출하도록 설정했습니다.

19. 세크레트 호출 시 초기 조작 상태: 수동 이동
숏컷으로 세크레트를 호출했을 때
초기 조작이 자동,수동이동인지 설정하는 것입니다.

20. 세크레트 수동 조작 설정: 타입 2
세크레트가 수동 조작이라도 전작 가루크 탑승 때처럼
W를 누를 때 전진하고 떼면 정지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설정에서 그걸 바꿔야 합니다.
저는 그러하게 설정했습니다.

21. 숏컷 표시 설정: 항상 4열 표시
저는 4열 표시로 했습니다.
4열 표시는 숏컷을 표시하면 휠로 4개 중에 고릅니다.
4열이기 때문에 G키 한 번만 누르면
다음 5, 6, 7, 8번 숏컷을 표시할 수 있게 됩니다.
1열 표시는 펑션키 누르는게 익숙하시면 괜찮습니다.

22. 카메라 거리: 전후
10으로 하면 카메라를 좀 더 뒤로 옮겨 시야가 넓어집니다.

23. 카메라 진동 강도
저는 줄였습니다.

24. 카메라 흔들림 강도
위와 동일하게 줄였습니다.

25. 록온: 끄기
목표를 타겟하면 카메라가 계속 따라갈지 한번 바라볼지 설정하는 것입니다.
저는 타겟 카메라 써서 껐습니다.

26. 벽 오르기 카메라 리셋: 리셋 안 함
저는 벽을 오를 때 카메라를 리셋하지 않도록 했습니다.

27. 타겟 카메라의 조작 타입: 타입 3
타겟 카메라를 쓰신다면 타입 3을 설정하셔서
타겟 시 몬스터를 바라보게 하면 됩니다.

28. 타겟 카메라의 상하 동작 타입: 움직이지 않음
타겟했을때도 카메라 상하조작을 유지하고 싶으시면
움직이지 않음으로 하시면 됩니다.

29. 몬스터 첫 발견 카메라 연출: 끄기
키면 처음 발견한 몬스터를 잠시 확대하고 록온합니다.
저는 껐습니다.

지금까지 이 설정은 이거다. 개인취향은 이거다. 적고 있었지만
디스플레이부터는 설명이 따로 필요 없고
사용자마다 다른 환경 때문에 적을 내용이 없습니다.

그래도 설명이 정말 필요하다 싶은 업스케일링은 설명합니다.

30. 업스케일링
직접 DLSS와 FSR을 각각 체험해보셔야 합니다.
저의 경우 FSR과 프레임 생성은 자글거림과 잔상이 심해서
DLSS를 쓰고 있습니다.

31. 프레임 생성
간단하게 설명하면 60프레임이 120프레임이 됩니다.
30은 60, 45는 90인 셈입니다.
인풋렉 관련해서는 알아보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사용 중 자글거림이나 잔상이 심하다고 판단될 때 끄면 됩니다.
최소 30프레임이 확보될 때 써주셔야 화면의 부자연스러움이 없습니다.

그런데 RTX 4천번대 아니면 프레임 생성이 안 켜집니다.
그럴 때 로스리스 스케일링을 사용하시거나
DLSS를 쓰면서 FSR 프레임 생성을 하는 방법을 찾아 적용하시면 됩니다.

32. 업스케일링 모드
품질 우선은 고해상도에 프레임 저하,
성능 우선은 저해상도에 프레임 확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DLSS 성능 최우선이 FSR 품질 우선보다
화면이 선명해서 DLSS를 쓰고 있습니다.


그래픽 관련한 설정은 전부 다 설정해 보면서
전후 차이점과 프레임을 확인해 보세요.

33. 아이루 음성 설정
사람말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면 모두 아이루어로 말하기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지금부터는 제 키보드 조작 키 설정입니다.
이것저것 다 설정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설정을 해보세요.
결론
다른 설정 가이드와 비교하면 스샷만 찍고
그에 대해 설명하는 글일 뿐이라
매우 빈약할 따름입니다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