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War: THREE KINGDOMS

Total War: THREE KINGDOMS

더 결집 : 지역 및 한글 패치 2.4.0
73 Comments
Phantom Menace Dec 20, 2023 @ 10:37pm 
ah this turns all the language into Korean
Phantom Menace Dec 20, 2023 @ 10:34pm 
English or chinese plz
Taesaja Aug 2, 2023 @ 6:34am 
임원현이 파동군 소속으로 되 있는데 무릉군 소속입니다.
변경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그리고 영릉군 천능현은 좀 어색한데 천릉현으로 바꿔주시면 안될까요?
Matdori Nov 4, 2022 @ 9:56pm 
트롬이랑 같이 써도되나염
Xherdos Aug 9, 2022 @ 7:14am 
what does this mod do?
Inter-object  [author] Jun 4, 2021 @ 6:20pm 
@eumjeehyun 이 모드하고는 아무 상관없는데 왜 이 곳에 질문하시는지... 그리고, 그런 현상? 버그도 있나요? 희안하군요.
jeehyun Jun 4, 2021 @ 12:48pm 
1.7.1 패치 이후로 남양땅 도시 옆에 구멍 있는데 이거 저만 그런지 아니면 다들 그런지요?! 게임에는 불편은 없는데, 땅 깊숙이 구멍이 나 있습니다...:steamsad:
Wolf May 21, 2021 @ 3:53pm 
선생님 좋은 모드 항상 감사합니다. :steamthumbsup:
Spica7601 May 18, 2021 @ 5:07pm 
잘 써볼게요. 감사합니다.
SuperDoctorCowbell May 8, 2021 @ 3:52am 
행정구역 변화가 있었던 것이군요. 이번에도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Inter-object  [author] May 8, 2021 @ 3:36am 
@Seoul Dairy Cooperation

시기에 따라 달라서요. 동탁 이전과 동탁, 그리고 조조 및 진나라 시대에 따라 다르더군요. 지금 삼탈워 상황상 180~200년 사이의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삼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무도군의 행정구역 변화
 · 213년 : 涼州(양주)가 폐지되어 옹주에 소속시킴.
 · 213년 무렵 : 파강현·임강현·안이현을 신설된 서평군으로 이속.
 · 220년 : 涼州(양주)가 복치되어 복귀.​
 · 229년 : 촉한에 점령되어 익주로 편입됨.
SuperDoctorCowbell May 8, 2021 @ 2:48am 
현재 무도군이 량주로 분류되어있는데 다른 지명을 검색하다가 우연히 알게 된 것인데 일단 검색해서 나오는 자료들로는 무도군은 익주로 분류되더군요. 물론 행정구역에 변화가 있었던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혹시나해서 제보해봅니다.
Inter-object  [author] May 1, 2021 @ 10:48am 
@Celestica 그렇네요. "냥"이네요. CA의 오타고 이 모드의 오타는 아닙니다.

factions_screen_adjective_3k_main_faction_langye_separatists 냥야군 이탈 세력
factions_screen_name_ep_faction_langye 냥야군
factions_screen_adjective_3k_main_faction_langye 냥야군
factions_screen_adjective_ep_faction_langye 냥야군

제보 감사합니다. 패치 했습니다.
Celestica Apr 30, 2021 @ 7:46pm 
오타 같은데 아닌가요? ㄴ ㅏ ㅇ 이 아니라 ㄴ ㅑ ㅇ 으로 세력명이 됩니다. 냥야군
Inter-object  [author] Apr 29, 2021 @ 10:24pm 
@Celestica 그건 CA 엔진이 알아서 하는 일이라 이 모드와는 상관없습니다.

@PENGUINMAN 리폿을 깜박하고 있었네요. 수정했습니다. 리폿 감사합니다.
Celestica Apr 29, 2021 @ 9:01pm 
도응을 낭야군에서 독립시켜줬더니 세력명이 냥야군으로 됩니다.
PenGuinMan Apr 22, 2021 @ 7:25am 
지통지재가 공도 뿐만이 아니라 장보한테도 적용이 되어서 지공장군이 아니라 지통지재로 나오네요
확인 부탁 드리겠습니다
Inter-object  [author] Apr 3, 2021 @ 12:33am 
@sonkj51 오타는 아니고요. "낙안", "천릉"이 두 군데라서. "천릉" & "천능"으로 해결했는데, "낙안"은 "낙안_1"으로 했었는데, 리폿을 받고 "낙안"으로 임시 고쳤는데, 이전 생성 스크립트가 동작하면서 다시 "낙안_1"으로 되었나보네요. 리폿 감사합니다.
SSon Apr 2, 2021 @ 11:23pm 
모드 잘 쓰고 있습니다. 텍스트 내용 중 오타가 있어 댓글 남겨요. 양주 파양군에 낙안 지역명이 '낙안_1' 로 되어 있습니다.
Inter-object  [author] Apr 2, 2021 @ 9:59am 
@Celestica

수준있는 의견 감사합니다. 저도 "회군"은 생소해서요. 그런데,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드에서 "회군"으로 표시를 해서... 짧은 지식에 따라서 해봤습니다. 저도 "구강군"이 훨 친숙하고 좋게 느껴집니다. 좀 더 연구를 해보겠습니다. 한국에 출판된 삼국지 속의 지명을 검색이라도 해봐야겠네요.
Celestica Apr 2, 2021 @ 9:52am 
회남군을 회군으로 바꾸셨는데, 제가 알기론 원래 이곳 지역명은 구강군이었다가 회남군으로, 그후다시 구강으로 바뀌었다가 삼국시대부터 다시 회남으로 굳어졌다고 알고 있는데 회남군으로 안하실거면 차라리 구강군이 나을거 같아요. 회군이라고 불린적이 없어서 좀 이상해서요;
Inter-object  [author] Mar 25, 2021 @ 10:03pm 
@Seoul Dairy Cooperation

유비도 평원상을 했었죠. 그 때는 평원국이였겠죠. 삼국 시대가 100년 정도라면 각 시기마다 다릅니다. 정확히는 모르고, 대략 "국"으로 있는 시기가 많았던 곳을 "국"으로 2곳 정도 정해서 표시한 것 입니다.

@hoo096

"의심많음", "의심이 없음" 에 대한 의견 감사합니다. 그런데, 트레잇은 샌드박스 사용자들이 사용자 스크립트에 "자동 트레잇" 지정해 놓고 쓰는 경우가 많아 "작은 차이"로는 변경하기 어렵습니다.
hoo096 Mar 25, 2021 @ 6:09am 
수상함->의심많은 보다는 다른 트레잇이랑 똑같이 -음 형태로 끝나게 의심 많음, 의심이 많음이 더 낫지 않을까요? 같은 맥락에서 trusting의 번역도 믿고보는 보다는 믿고봄, 혹은 의심이 없음 으로 하는 게 어떨지 건의해봅니다.
SuperDoctorCowbell Mar 25, 2021 @ 3:07am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서주 하비군과 팽성군은 원래 하비국과 팽성국이 아닌가요?
가이드 상으로 태수가 임명되느냐 황족이 왕으로 임명되느냐에 따라 군과 국의 변동이 있다는 것을 반영하셨다고해서 그래서 군으로 나온 줄 알았는데
착융과 설례에 대한 글을 보니 설례가 팽성상을, 착융이 하비상을 맡았었다는 부분을 봐서 삼국지 시점에는 국이 아닌가싶습니다.
NEPH Mar 25, 2021 @ 1:10am 
건의 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Goggal Mar 24, 2021 @ 9:10am 
개인적으로는 콤마없는게 나아보이더라구요 게임상 텍스트들과 괴리감이 없어져서 좋은업데이트같습니다 항상감사하게 쓰고있습니다
Inter-object  [author] Mar 23, 2021 @ 8:19pm 
@PENGUINMAN

아래 @NEPH 님은 "콤마"가 시각적으로 좋지 않다고 해서, 한번 바꿔봤습니다. 귀가 얇아져서 바꾸긴 했는데 잘 모르겠네요. 큰 차이가 없긴 한데 없으니 뭔가 허전하긴 하네요. ㅎ...

원래 영문 모드도 함께 만들었는데, 영어 사용자들은 후한 시대의 지명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해 "주와 군" 구별 자체에 의미를 두지 않더군요. 유명 장수 이름도 유니크 장수 수준만 아는 정도죠.

주와 군에 익숙하지 않은 영어 사용자에게는 ", " 구분이 필수죠. 주와 군의 순서도 바뀌고... 그래서 ", " 로 시작했는데 불편한 분도 있나 봅니다.

좀 더 의견을 모아보겠습니다. 이 댓글을 보신 분은 의견을 달아주세요.
PenGuinMan Mar 23, 2021 @ 7:33pm 
개인적으로는 반점으로 주와 군을 나눈게 보기 편한 것 같네요
deathscythek Mar 23, 2021 @ 10:47am 
업뎃 감사합니다.!
Inter-object  [author] Mar 18, 2021 @ 10:02am 
@Browsable

낙안이 같은 한자 이름으로 두 군데입니다. 낙안군-낙안, 파양군-낙안... 낙안_1 또는 낙안1 이든 샌드박스의 텔포 같이 지역명을 사용하는 명령을 위해 구분을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생각이 짧았네요.

스팀 오류로 업데이트 못하고 있으니, 스팀 업데이트가 정상이되면 수정해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Browsable Mar 18, 2021 @ 9:56am 
start_pos_settlements_onscreen_name_settlement:3k_main_poyang_resource_31514160811 낙안_1 확인부탁드립니다. 도시명에 언더바 들어갔어요.
JxxxxxxBxxxx Mar 16, 2021 @ 3:47am 
드디어 조루가!
NEPH Mar 16, 2021 @ 1:02am 
그리고 원술의 비호 보병대는 호분대로 수정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비호 보병대의 영문명인 Rapid Tiger는 虎賁의 영문직영명으로 보이며 원술은 호분중랑장을 역임했습니다.
NEPH Mar 16, 2021 @ 12:47am 
멋진 모드 감사드립니다.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문제를 제기하자면, 주와 군을 구분하기 위해 굳이 콤마 부호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스페이스만으로도 충분하며 현재 양식은 시각적으로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Inter-object  [author] Mar 14, 2021 @ 12:23am 
@chj2516

늦었지만 하의, 공도, 하만(하의 아니라)의 캠페인 선택 창 칭호 패치 했습니다. 리폿 감사합니다.
pa905 Feb 7, 2021 @ 11:20pm 
좋은 모드 감사합니다. 오역 관련해서 제보 하나 드립니다. 장제(동탁의 부하)가 장기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건 본 모드의 문제가 아니라 삼탈 자체의 문제인 것 같네요
chj2516 Jan 17, 2021 @ 3:31am 
좋은 모드 감사합니다 :D
황건 하의공도황소는 팩션선택창에서 수정된 호칭이 아닌 기존 호칭으로 뜨길래 제보합니다.
(인게임에서는 호칭이 제대로 적용되어 나옵니다)
Celestica Jan 15, 2021 @ 10:24pm 
파양군, 낙안이 낙안_1로 표기 되어있네요.
Cherisher Dec 18, 2020 @ 7:15am 
바로 패치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장수 유니크화 모드를 애매하게 말씀드려 혼란이 생기신 것 같아 죄송합니다.
하나하나 답변에 응해주시고 행해주셔서 한층 더 재밌게 즐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Inter-object  [author] Dec 14, 2020 @ 5:39pm 
@Cherisher

TUP가 바꿨었던 주치의 '치' 와 호환하기 위해 TUP의 바닐라 생성 테이블 수정 내용을 포함했던 것이 남아있었네요. 이제 지웠습니다.
Inter-object  [author] Dec 13, 2020 @ 12:21am 
@Cherisher

무슨 말씀인지 모르겠습니다. TUP 관련 내용인가요? "주치 유니크화"가 무슨 뜻이죠?

이 모드에선 바닐라 데이터를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한글 표기만 "지" -> "치"로 바꾼거죠. 모델링하고 전혀 무관합니다. 바닐라의 주치 생성 테이블을 수정한 모드하고 충돌이 있겠죠?
Cherisher Dec 12, 2020 @ 11:18pm 
항상 좋은 모드 제작 및 업데이트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가지 문의를 드리고 싶은 것이 최근 주지 > 주치 업데이트 내역이 주치 유니크화와 충돌이 생겨 주치의 모델링이 나오지 않습니다.
매번 건의사항에 발빠르게 대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nter-object  [author] Nov 28, 2020 @ 8:13pm 
@Xenoviel

CA가 건안쪽 땅이 너무 넓어서 편의상 남건안, 북건안으로 군을 2개로 나눈 것이고, 실제 역사에서는 그냥 건안이였습니다. 그 시대에 가장 인구밀도가 낮고 개발이 느린 지역이 건안 지역이였죠. 그래서 이 모드에서는 남.북으로 나누지 않고 그냥 "건안군"으로 표시합니다.
Celestica Nov 28, 2020 @ 3:11pm 
양주 건안군이 2개 있네요. 북건안, 남건안 둘다 그냥 건안으로 나오는거 같아요.
Celestica Nov 19, 2020 @ 6:13pm 
아 두 모드 다 지우고 다시 인스톨하니 제대로 나옵니다 감사합니다.
Inter-object  [author] Nov 19, 2020 @ 2:23pm 
@Xenoviel

11월 11일 1.7.1 업데이트가 "더 적합한 관직명"의 관직이 나오고, 이 모드의 "직위"가 나오게 하는 업데이트였습니다.

두 모드는 다른 경로의 파일이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로딩 오더는 상관없습니다.

RPFM을 사용하신다면 "Fil->Open From Contents" -> TheGathering_localised_kr 팩파일을 열어
"TheGathering_localised_kr.1.7.7.txt" 가 있는 지 확인해보세요.

1.7.0 버전의 이 모드 파일이 어딘가에 존재하는 느낌입니다. 모드 메니저가 업데이트를 안한 것이거나 게임 data 폴더에 구버전이 있다거나? 잘 모르겠군요.
Celestica Nov 19, 2020 @ 10:47am 
최근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는 현상인데 "더 적합한 관직명" 모드랑 함께 쓰면 모드 순서를 어떻게하든 지위명이 관직명 모드랑 이 모드랑 뒤죽박죽 섞여버립니다. 얘전엔 관직명 모드를 위에 두면 안그랬는데 갑자기 이러네요;;
Inter-object  [author] Oct 31, 2020 @ 11:22pm 
@Xenoviel

헉! 그렇네요. 오늘 중으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리폿 감사합니다!
Celestica Oct 31, 2020 @ 8:14pm 
고량군 표기에 교주가 빠져서 고량만 써있어요
Inter-object  [author] Oct 30, 2020 @ 9:43pm 
@yns3310

평원군은 유비가 평원국상(國相.태수급)으로 갈 때는 평원국이였고 청주였죠. 그러다, 213년에 기주로 편입됩니다. 삼국 시대의 시작을 220년 후한이 멸망할 때를 기준으로 잡으면 기주. 황건적의 출몰(184)을 기점으로 잡으면 청주가 되겠네요. 애매하죠.

낙안군은 실제 위치는 북해 북쪽 해안가입니다. 삼탈워에서의 위치는 태산군(1.0~1.5.3)이였다가 낙안군(1.6.0)으로 이름이 변경되는 데.. 위치로 보면 1.6.0(남만) 이전의 태산군이 맞습니다.

낙안군을 이전의 태산군으로 표시하는 건 쉬운데, 소속 현이름도 마음데로 바꾸기가 뭐 해서 고민하다가 소속 주(州)만 연주로 표시하고 나중에 다시 고치기로 생각했었죠.

낙안군을 태산군으로 지명을 바꾸고, 소속된 현들은 다른 중국 모드를 살펴 보기도 하면서 정보를 얻어 수정해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