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4 Blood

Back 4 Blood

Nincs elegendő értékelés
백포블 초반에 알면 좋은 10가지 팁
Készítő: RyuViL
지금 까지 해보면서 초반에 알면 좋은 10가지 모아봄
   
Díjazás
Kedvenc
Kedvenc
Törlés
1. 크러셔 상대하기


크러셔 상대할 때 한 명이 붙어서 빙빙 돌아주면 안 잡히고 킬 가능

2. 오염카드에 해그 등장 시 전충기, 섬광 구입
Back 4 Blood Screenshot 2021.11.07 - 14.50.55.17.jpg]

전기충격기와 섬광으로 해그한테 따먹히고 있는 팀원을 구조할 수 있으니
해그관련 오염카드가 뜨면 무조건 구비해두자

아니면 폭덱으로 뚜까 패도 좋다
3. 밤, 안개 카드 등장 시 까마귀 조심
가뜩이나 앞 ㅈ도 안보이는데 필터링 손봤다고 장거리 사격하다,
까마귀 있는 곳 쏴서 리든한테 갱뱅 당하지 말고 근접 위주로 처리 하셈
4. 밤스니치(오염카드)는 원킬 내도 웨이브 강제 시작


오염카드 번역이 ㅈ같이 돼 있어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당신을 알아차리면 = 스니치가 플레이어의 존재 확인 or 스니치 죽였을 때

그냥 밤스니치 오염카드 뜨면 조용히 지나치던지 웨이브 버티던지 둘 중에 하나.
"아니..스니치 원킬냈는데 왜 알람 울린거지???" ㅇㅈㄹ 하지 말자
5. 알람문
알람문은 근접시 특유의 삐빅 소리로 감별 가능
(문옆에 총 쏴서 좀비 유도해 문 부수게 하면 알람 X)

(패치 이후 막힘)
6. 버니합 비스무리 한 거


달리기 버튼 떼고 0.5초 후에 점프하면 스태미나 소모 없이 더 멀리 점프 가능
(약간의 텀을 주는 게 중요)

(2021년 12월 패치 이후 막힘)
7. 근접홀리


백포블 아이돌 근접홀리가 있을 시 잡좀은 최대한 홀리에게 맡기면 됨



근접 필수카드가 '공포직시' 인데 잡몹을 홀리가 못 잡으면 버틸 수가 없음
(독좀, 폭좀은 가능한 한 멀리서 잡아주면 됨)

8. 근접 벽뚫 버그


근접공격은 벽을 통과해서 때릴 수 있는 버그가 있음.
이걸 이용하면 안 맞고 편하게 잡좀 처리 가능
9. 슬리퍼 사각지대

이걸 모르는 사람이 어디있겠냐마는 공방에서 자주 보여서 걍 써봤음.
스샷보다 한 보 정도 더 움직여도 강간당하지 않으니 저 각도 신경 쓰면 됨
10. 무떨장캔


장전모션 직후에 탭키로 무기 떨구고 다시 주우면 탄 채워져있음

한발한발 장전 하는 펌프샷건은 효과X, 장전 빠른 SMG는 효과 미미,
기관총류나 바렛 같이 오래 걸리는 무기는 무떨장캔하면 더 빨리 장전 가능
18 megjegyzés
Blue-cow 2023. szept. 13., 0:38 
9. 근데 슬리퍼 이 씹새는 벽뚫고 여전히 날아와서 날 잡을때가 많음 하나만 하라고 씹
해외 영상보면 날아오는거 v키로 막는 장면 나오는데 김치 유저들은 핑차이로 절~대 그런 행복한 해프닝 따윈 없다!

10. 무떨 장캔은 막혔으나 탄창 업그레이드(장전된 탄약 수 증가)가 무기에 박혀있을 경우에만 무떨 장캔이 가능하니, LMG 같은거 들고 있는 애들에게 우선적으로 양보하는게 좋아요
Blue-cow 2023. szept. 13., 0:38 
5. 본문에 서술된 내용 정확 (알람문 가끔 뚫고 리든들 들어오는데 안고치고 빤스런한 좆틀락 게임은 향후 절대 구매할 계획없음.) 파티면 [보이지 않는 통로] 카드 1명쯤 있으면 많이 편해져요

6. 막힘.. 기동 능력 크게 이득보고 싶으면 [헬파이어] 카드가 도움은 되나 그거 넣는 자리도 빡빡해요

7. 홀리 능력 개편으로 근접 자리는 샤리스에게 넘어갔으며 근접 메타는 트라우마 저항 85%를 맞추고 버티는 스타일이 가장 안정적이에요 (절망 기준), 공격적인 근접은 절망에서 사용하기 어려우니 쓰려면 많은 덱 빌딩을 시도해보길 바라지만 그 카드풀 투자 능력이면 차라리 스나나 샷건을 쓰는게 나아요

8. 근접 벽뚫 막혔으요
Blue-cow 2023. szept. 13., 0:38 
2023년 업데이트 중지를 기준으로 현재 이 글에서 많은 변동점들이 있습니다.


1. 여전히 유용합니다.

2. [해그 광분]이라는 자막 출력시 섬광 등등의 기절 상태이상을 먹이면 추가 웨이브가 소환되지 않습니다.

3. 까마귀는 손 한번 봐야하는데 시1발.. 여유가 있다면 담즙통이나 섬광으로도 처리가 가능합니다. 여유가 있다면..

4. 저는 어'둠' 카드에 나오는 스니치라해서 둠니치라고 부릅니다. 어둠 카드가 떴다고 무조건 둠니치가 나오는건 아니며 목이 붉게 빛나면 일반 스니치, 검푸른 느낌이면 둠니치니 구분하시면 좋습니다. 웨이브 발생시 뒤로 너무 빠지면 같은 자리에 둠니치 다시 생겨나니 소모전 양상이 생기지 않도록 둠니치 잡은 근처 or 살짝 앞에서 막는게 좋습니다.
UZQueen 2023. jan. 6., 18:32 
근접 벽뚫 버그는 이제는 패치로 막혔어요
RyuViL  [készítő] 2021. nov. 28., 5:18 
반박시 당신 말이 맞음
Polu 2021. nov. 28., 5:15 
>.<
Polu 2021. nov. 28., 5:15 
제대로 알고 쓰는게 맞나요? 전혀 맞는말이 없는거 같은데
RyuViL  [készítő] 2021. nov. 24., 0:35 
이런 천박한 가이드로도 도움이 됐다면 다행입니다 :3:
FatCat101 2021. nov. 24., 0:07 
이런 글 정말 단비처럼 다가오네요..... 저같은 뉴비는 정말 이런거 아니면 답도없습니다..ㅜㅜ 고마워요...
선빈 2021. nov. 8., 19:37 
:steamthumbs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