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tle Big Workshop

Little Big Workshop

27 ratings
게임설명에 나와있지 않은 기본적인 시스템
By byorak
게임설명에 나와있지 않은 기본적인 시스템 설명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게임설명에 나와있지 않은 기본적인 시스템
이게임은 조립공정이나 기계배치등을 최대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배치하는걸 찾아내는것 자체가
이게임의 목적이자 가장 큰 재미이기에 이부분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대신 게임내에 중요한 부분이지만 따로 설명이 나와있지 않아 알수없지만
미리 알고있다면 게임진행이 편해지는 부분에 대해 간단히 써봅니다.



1. 설계도면에서 공정과정 연결 한번에 하기


설계도면화면에서 공정과정을 더블 클릭하면 연결된 공정과정이 모두 선택됩니다.
따라서 가장 마지막 단계를 더블클릭하면 그 제품의 모든 공정과정이 전부 선택되는거지요

그 상태에서 우클릭 후 기계 배정하기를 하면 같은 공정과정은 모두 한번에 지정이 됩니다.

예를들어 투석기의 경우
가장 마지막에 있는 '조립'을 더블클릭해서 모든 공정과정을 선택한 뒤
제일 처음에 있는 '나무 절단' 을 우클릭 후 해당 기계를 연결 시켜주면
이 클릭 한번으로 투석기 설계도상에 있는 모든 '나무 절단' 과정들을 한번에 연결시킬수 있는겁니다.

튜토리얼 식으로 가이드북에 설계도면에서 더블클릭 하면 어쩌구 하는게 뭔소리인가 했는데
이걸 의미하는거였네요




2. 휴게실은 큰방하나에 몰아넣기 보단 작은방 여러개로 짓자


가이드북 상에는 분명 휴게실에 가구를 많이 배치할수록 피로도가 더 빨리 회복된다고 써있습니다.

이 글귀상으로는 휴게실에 가구가 많아질수록 직원들의 피로도가 더 빨리 회복해서 휴게실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고, 보다 빠르게 업무로 복귀한다는 말로 이해되지요.

그래서 처음 할때에는 큰방에 휴게실을 만들고 최대한 가구들을 우겨넣어서 만들었습니다.
아마 다른분들도 처음 시작할땐 저 글귀만 보고 다들 이렇게 지었을거라 생각됩니다.
최대한 우겨넣어서 [] 정도는 만들어야 뭔가 좀 휴게소 같아 보였을겁니다.

이래야 이 천한 노예놈들이 쉬지 않고 일하겠지 하면서...

휴게실에 가구를 넣을때마다 늘어나는 [??? / 일] 이 수치는 직원의 피로도 회복하는 속도와는
젼혀 관계가 없습니다.
오직 커피 자판기의 커피가 채워지는 속도만 빨라질뿐입니다.

직접 확인해보니 [] 인 휴게실이나 [] 인 휴게실이나
피로도 0인 직원의 게이지가 다 회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두 방 모두 게임상 시간으로 재봤을때 1시간 15분으로 동일했습니다.

우리 모두 해골물을 달달하게 원샷하고 있었던겁니다.

[] 휴게실 만들 공간과 돈이면 [] 짜리 휴게실 두개는 만들수 있습니다.
커피 생산량만 보면 작은쪽이 훨씬 이득이지요




3. 어떤 제품을 판매하는게 가장 효율적인가에 대해서


게임 내에는 [시세] 라는 보이지 않는 수치가 존재합니다.
이 [시세] 는 게임 내 그래프로 표시되는 눈에 보이는 값을 말하는게 아닙니다.

[시세] 는 제품을 팔면 팔수록 계속 떨어지게 되고
제품을 판매하지 않고 방치하면 계속 상승하게 됩니다. (당연히 한계치가 존재하겠지요.)

이해하기 쉽게 예를들어 설명하자면

사무실 탁자의 시장 가격 그래프가 앞으로 3일 연속 최대치를 그리고 있다고 해봅시다.
3일 동안 가격 그래프 최대치를 그리고 있으니 사무실 탁자의 판매가격은
앞으로 3일 동안은 최대치금액으로 동일할 것입니다.

이때 모든 공정을 총동원해서 사무실 탁자만 찍어서 3일 동안 최대한 팔게된다면
사무실 탁자가 많이 팔릴수록 [시세] 가 계속 하락하게 되고 3일간 계속 하락한 [시세]로 인해
그래프 상으로는 3일간 최대치로 동일하다고 표시되었지만
실제 사무실 탁자의 판매 금액은 3일 동안 점점 떨어지게 되는것입니다.
이때 하락하는 금액폭은 많이 팔면 팔수록 더 심하게 하락하게 됩니다.


시장은 과제, 기본, 중간, 고급 4단계 구간으로 나눠져 있고
[시세]는 기본, 중간, 고급 각 구간별로 존재합니다.
과제 구간에는 시세가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중간 구간의 제품인 사무실 탁자만을 몇일동안 막대한 양을 계속 팔게 된다면
중간 구간의 시세는 큰폭으로 계속 떨어지게 되고
중간 구간 모든 제품들의 가격이 전부 큰폭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반면 기본, 고급 구간의 제품들은 판매를 하지 않았기에 [시세] 가 회복되어서
판매 금액이 시세 최대치를 향해 상승하게 되겠지요. (가격그래프를 의미하는게 아닙니다.)


게임 초반에 적은 물량만 판매할 경우에는 시세하락폭이 크지 않기에 별차이가 없지만
중반정도 들어 물량을 찍어내는 수준이 된다면 가격이 크게 차이나기 시작합니다.

저 같은 경우 투석기가 그래프상 같은 지점일때 2,300원 정도 하던게
시세 하락후 1,100 원정도로 절반이하로 금액이 내려가기도 하더군요.

그러므로 한가지 제품에 올인해서 판매하는 방식은 결국 파산으로 직행하게 됩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효율 적인 판매루트는

시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과제가 1순위

적당한 과제 품목이 없다면 기본 -> 중간 -> 고급 순으로 몇일간에 걸쳐 나눠서 생산함으로서
각 구간들의 시세가 회복하는 기간을 가져야 효율적으로 판매가 가능하다 입니다.




이상 긴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4 Comments
Y Jan 31, 2022 @ 2:29pm 
감사합니다!
hemupapa May 11, 2021 @ 7:50am 
우오앙 감사합니다
jtoxxx Mar 13, 2020 @ 9:12pm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Sieg Zeon !! Dec 10, 2019 @ 5:43am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참고가 됩니다 ^^:steamhappy: